| 망해가는? 망초 꽃과 수크령 밭
|
갑천 제방 언덕에 망초는 꽃이지고 솜털씨앗을 날리고 있다.
수크령 이삭은 바람에 하늘거린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도깨비바늘이 도둑가시 씨앗을 내밀었다.
|
대전시 유성구 탄동천.
도깨비바늘(문화어: 털가막살이, Bidens bipinnata)은 국화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다. 한국·일본·중국·호주·인도·아프리카 등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차귀사리라고도 한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여덟 팔자 날개열매(시과)를 주렁주렁 매단 중국단풍나무
|
원자력안전기술원.
八자를 닮은 시과, 세갈래로 얇게 갈라져서 오리발을 닮은 잎이 인상적이다.
중국단풍나무(Acer buergerianum)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반도 각처의 산지에 흔히 나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8~12m이다. 잎은 손바닥 모양이고 밑 부분이 둥...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5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원자력안전기술원, 검은 색 윤이 나는 범부채 열매가 익었다.
|
원자력안전기술원 화단에 범부채가 까만색 열매송이를 익히고 있다.
범부채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학명은 Belamcanda chinensis이다. 사간(射干)이라고도 한다. 2005년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라서, 범부채속(Belamcanda)의 유일종 범부채(Be...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들국화 닮은 벌개미취 분홍색 꽃에서 꿀을 빠는 네발나비
|
원자력안전기술원 화단에서 네발나비 여러마리가 벌개미취 꽃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벌개미취(Aster koraiensis)는 제주도에서 강원도 이남까지 분포하며, 꽃은 6월에서 10월까지 피는 야생꽃이다.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한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달뿌리풀 이삭에 붙어서 쉬는 벼메뚜기
|
갑천 자전거도로 변에 자라는 달뿌리풀 이삭(원추형으로 늘어진다)에 씨앗이 익어가고 있다.
이삭에 벼메뚜기 한마리가 앉아서 쉬고 있다.
사진을 마구 찍어도 못본 체 한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5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가로등과 한밤의 수크령
|
갑천.
자전거 불빛에 빛나는 수크령 이삭.
바로 아래에는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은 강아지풀 이삭이 고개를 숙이고 있다.
수크령(Pennisetum alopecuroides)은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언뜻 보면 강아지풀을 닮았지만 훨씬 크다. 지랑풀,길갱이,랑미초 등으로도 불린단...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벼 벼 벼... 벼이삭 익어가는 논
|
부여군 논에서 자라는 벼;
벼속에는 약 23종의 벼가 있고, 이중 재배종은 아시아 재배종인 Oryza sativa와 아프리카 재배종인 Oryza glaberrima 두 종뿐이다. O. glaberrima는 서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며, 일반적으로 재배벼는 O. sativa...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