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사물나무는 일본어로 토좌수목(土佐水木 トサミズキ 도사미즈끼)이라 합니다. 토좌수목을 우리말로 도사물나무라 번역했는데 참 어색합니다.
한자를 쓴다면 토좌수목이면 되고 일본어라면 도사미즈끼입니다. 도사물나무는 도대체 출처를 알 수 없습니다.
꽃자루에 털이 뽀송뽀송합니다. 잎이 나면 히어리 잎보다 다소 얇습니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것과 거의 동일해서 같은 나무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우리 이름이 히어리니 일본히어리라고 하면 우리의 종명과 속명을 갖춘 분류학적이 이름이 되었을 것 같습니다.
(글 출처: 박원 http://www.indica.or.kr/xe/index.php?mid=free_board&document_srl=4676396&order_type=desc&listStyle=viewer&page=2)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 1887)는 개비자나무과의 나무로 한반도 특산종이다. 한반도 중부 이남 산골짜기의 습기 많은 곳에서 자라는 상록침엽수로 높이가 3m 정도이다. 잎은 선형으로 30-40㎜이고 양쪽이 뾰족하며...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숫명다래나무
인동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월에 새 가지 밑부분에 피고 열매는 대개 두 개가 합쳐져 붉은색으로 익는다.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전북 백양산, 충북, 경기, 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