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콩깍지가 영글어가는 대두 콩
|
익산시 자전거도로. 이곳은 산을 타고 넘는다.
논두렁에 심은 콩에서 콩깍지가 익어가고 있다. 논에는 벼도 익어 벼이삭이 고개를 숙인다.
콩 또는 대두(大豆, 학명: Glycine max)는 아시아·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이름모를 콩과 식물(덩굴 콩)의 노란 꽃과 콩깍지 -> 좀돌팥
|
UST 입구 잔디밭에 덩굴성 콩과식물이 노란색 꽃을 피웠다. 여기저기 콩깍지 다수가 열렸다.
(덧붙이기)
검색 결과, 좀돌팥에 큰 무게가 간다. 하지만 정확하지는 않음.
새팥, 예팥, 여우팥 등과 비슷하지만 잎이 사진처럼 가는 종은 좀돌팥인 것 같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예쁜 분홍색 꽃을 피운 덩굴강낭콩과 콩깍지
|
여수해양레일바이크 주차장. 분홍색꽃이 예쁜 덩굴강낭콩. 콩깍지 넓다. 아직 콩이 들어차지는 않아서 그런지 콩깍지가 얇다.
(위키) 강낭콩(학명: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문화어: 당콩)은 콩과의 한해살이식물로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이며 유럽에는 아메...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부여입구 도로변 팥, 팥깍지, 팥꽃
|
부여군 입구. 표지판이 보인다.
팥은 한해살이풀로 높이 30-50cm이다. 그 열매는 소두(小豆), 적소두(赤小豆), 팥콩이라고도 불린다. 원산지는 아시아 극동 지역으로서 중국에서는 2000년 전부터 재배가 되었으며, 주로 한국·중국·일본 등에서 재배되는 작물이다.
덩굴성이거...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쇠 난간에 붙은 작고 동그란 갈색 노린재... 무당알노린재
|
...으며, 표면에는 흑갈색 점각이 산재한다. 더듬이는 짧고 황갈색이며, 제 2마디가 가장 짧다. 작은방패판은 굉장히 크고 볼록하여, 가부의 중앙부는 가로홈에 의해 분리된다. 앞날개는 작은방패판에 가려져 있어 보이지 않는다.
분포 전국
생태 산과 들의 콩과식물이 흔한 곳에서 무리를 지어 ...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콩 잎에서 쉬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
익산시 자전거도로 야산.
콩잎 위에서 만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뒷다리의 톱니가 잘 안보인다.
이 녀석 사진은 항상 초점이 잘 안맞는다. 몸의 볼륨 때문일까?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콩깍지 영근 논 옆 도로변의 덩굴강낭콩
|
부여군 도로변 농가.
덩굴강낭콩(Phaseolus vulgaris). 콩과의 한해살이풀. 강낭콩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덩굴지고 흰색 또는 붉은색 꽃이 핀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쉼터 등나무 열매
|
UST 본관 앞 쉼터의 등나무가 깍지속에 씨앗을 익히고? 있다.
등
Wisteria floribunda
등(藤, 문화어: 참등)은 콩목 콩과의 나무이다. 흔히 등나무라고 부른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5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메모智 열람:
1 / 2
(총 20 건)
[다음>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