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꼬리부전나비 애벌레를 돌보는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
|
EBS 다큐프라임 곤충 - 밀리미터의 세계. TV 화면 촬영.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들이 나비 애벌레를 돌보고 있다.
심지어 단백질 보충을 위해 자신들의 알을 애벌레의 먹이로 제공하기도 한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씨앗이 영그는 환삼덩굴 열매? -- 암꽃
|
...환삼덩굴을 잡초제거작업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기존 고유식물들이 살 곳이 좁아지게 된다. 환삼덩굴의 줄기는 인간의 피부에 해로워서 환삼덩굴이 피부에 닿으면 가렵고 따갑다. 잎벌레와 네발나비의 먹이식물이다. 어미나비가 환삼덩굴의 잎에 알을 낳으면, 부화한 애벌레는 잎을 먹으면서 자라다가 네... |
|
공개
| 댓글: 1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탁란할 기회를 노리는 기생파리
|
...파리과(Tachinidae)는 곤충강 파리목에 속하는 과이다. 이들은 약 5mm가량의 몸집을 가졌으며, 다른 곤충에 기생하여 번식한다. 기생파리의 숙주로는 무당벌레와 나비애벌레가 있으며, 이들은 기생파리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었을때 몸의 양분이 빨려서 죽는다. (위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공사장 울타리에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은 박주가리 덩굴
|
...근 모양으로 크며 10센티미터 남짓이다. 씨에는 흰 털이 있어서 바람에 날린다. 들에 나는데, 대한민국 각지 및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왕나비 애벌레의 먹이식물인데, 왕나비 애벌레는 박주가리를 먹고 자라며 박주가리의 독을 모아두었다가 나비가 되면 천적인 새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데 이용...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천변의 분홍색 꽃: 박주가리 꽃과 열매
|
...처럼 희다. 7~8월에 엷은 자줏빛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길둥근 모양으로 크며 10센티미터 남짓이다. 씨에는 흰 털이 있어서 바람에 날린다. 들에 나는데, 대한민국 각지 및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왕나비 애벌레의 먹이식물인데, 왕나비 애벌레는 박주가리를 먹고...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개망초 꽃에 앉은 쌍꼬리부전나비 성충
|
... 붉은빛을 띤 누런색의 무늬가 있다. 날개 뒷면은 엷은 누런색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데, 뒷날개 끝에 꼬리 모양의 돌기가 두 개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미상돌기가 2개인 멸종 위기 2급 생물이다. 쌍꼬리부전나비는 애벌레 시절을 독특하게 살아간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