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느티나무 사이로 보이는 한빛탑 꼭대기
|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한빛탑(Hanbit Tower)은 대전광역시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 공인 엑스포로 열린 1993년 세계 박람회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상징 조형물이다. 높이는 93m이다. 빛, 과학, 우주를 모티브로 외관을 설계했으며, 지혜로운 과거를 바탕으로 현...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날개 길이만 30㎝…‘자이안트 나비’ 경악
|
...
베트남넷이 보도한 사진을 보면 이 ‘자이안트 나비’는 날개 길이만 무려 30cm로 함께 촬영한 작은 고양이나 샌달과 거의 비슷한 크기였다.
이 소식을 들은 이웃들이 집으로 몰려와 날개 길이를 재보기도 했는데, 이웃인 다오 반 뚜이는 얼마전 그와 뚜예의 집 앞 나무에서 매우 큰...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자귀나무 잎줄기 위에서 쉬는 무당벌레
|
대전시 유성구 갑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는 무당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색은 노란 귤색에서 검정색에 이르며 점의 개수는 0~28개이다. 동아시아가 기원이지만 진딧물과 깍지벌레를 통제할 목적으로 북아메리카와 유럽에도 들여왔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느티나무 그늘아래 잔디처럼 자라는 솔이끼
|
솔이끼 잔디밭?
솔이끼과(Polytrichaceae)는 이끼 가운데 흔한 과의 하나이다. 이 과의 종들은 대체적으로 다른 이끼보다 크다.
솔이끼
분류 : 선태식물 솔이끼과
학명 : Polytrichum commune
서식하는 곳 : 산지의 습지와 점토질 토양
분포...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자작나무 수액을 빠는 장수말벌
|
... 중국 및 일본에 가장 흔하지만 중앙유럽과 미국 동서 해안에도 침투하여 서식하고 있다. 장수말벌은 굴을 파거나 설치류가 이전에 파 놓은 굴을 재활용하거나, 또는 썩은 소나무 뿌리 근처 같은 곳에 둥지를 튼다. 주로 대형 곤충을 사냥하거나 꿀벌에게서 꿀을 약탈해 먹는다. 장수말벌의 신장은...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