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 위의 위험한 휴식... 좀사마귀
|
부여군 자전거도로.
자전거를 타다보면 수많은 변온동물들이 길 위에 나와있다.
이 좀사마귀 녀석도 따뜻한 햇살을 즐기고 있는걸까?
때문에 많은 곤충이나 작은 뱀이 바퀴에 죽는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날도래 우화 흔적
|
부여군에서 공주시로 넘어오는 도로변 보호대(가드레일)에 뾰족한 것들이 붙어있길래 자세히 봤더니 날도래 유출의 껍데기다. 금강에 살던 녀석들이 기어올라와서 우화한 모양이다. 어떻게 저 먼 거리를 무거운 짐을 지고 올라왔을까? |
|
공개
| 댓글: 1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백제교, 자온대, 규암나루터, 백마강
|
부여군 백제교.
백마강 위로 옛 다리를 헐지않고 사람과 자전거가 오갈수 있도록 공원을 꾸몄다고 한다.
이름은 좀 촌스럽게? 지었다. 백제 브릿지 파크^^
강변으로 자온대, 규암나루가 보인다.
자온대 바위(엿바위) 위에 수북정이라는 정자가 있는데 나무에 가렸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망초를 타고 자란 며느리배꼽 덩굴과 배꼽 닮은 열매
|
부여군 논가 도로변.
며느리배꼽(문화어: 사광이풀, Persicaria perfoliata)은 마디풀과에 딸린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한국·중국·일본·러시아 극동부 및 인도·인도차이나 반도 원산이다. 턱잎 안에 열매가 들어 있는 모양이 배꼽을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다. 며누리배...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숨은그림찾기? 조정 훈련하는 선수들... 모터보트가 독려.
|
부여군 금강.
휴대전화 렌즈와 사람 렌즈의 차이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사람의 눈은 대략 50mm 렌즈에 해당하는 반면 휴대전화는 20mm 렌즈.
모터보트와 조정용 배가 육안으로는 크게 보였는 데 휴대전화 사진으로는 매우 작게 나왔다.
금강에서 카약이나 조정 훈련하는 사람들...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1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미국쑥부쟁이 꽃을 찾은 벌 닮은 대형 꽃등에 -- 왕꽃등에
|
부여군 자전거도로.
왕꽃등에라고 한다. 사진기로 찍은거 보면 눈의 무늬가 특이하다.
휴대전화로는 표현이 안된다.
왕꽃등에 Phytomia zonata (Fabricius)
파리목 꽃등에과
몸의 길이는 1.2~1.6cm이며, 검은 갈색이다. 어깨는 오렌지색, 날개는 엷은 ...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노란색 꽃을 활짝 피운 달맞이꽃
|
부여군 자전거도로.
목: 도금양목
과: 바늘꽃과
속: 달맞이꽃속 Oenothera L.
달맞이꽃속은 바늘꽃과의 속으로 약 125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종
- 겹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 큰달맞이꽃(Oenothera erythrosepal...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3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수수에 흰색 수수알이 열리는 흰수수
|
부여군 농가옆 도로변에 어느 농부가 심은 듯. 수수알이 하얀색이다. 수수는 거피(껍질제거)를 해야 먹을 수 있는데 흰수수는 그냥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수수(Sorghum bicolor)는 벼목 볏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화본과 식물이다. 북아프리카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거의 세계 ...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미국쑥부쟁이 꽃을 찾은 나비... 노랑나비
|
부여군 자전거도로.
곁을 잘 주지않는 노랑나비. 두 마리가 각각 한번씩 모델이 되어주고는 모두 날아가 버렸다.
노랑나비 Colias erate Esper
나비목 흰나비과의 곤충이다. 날개가 보통 노랑색이라서 노랑나비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암컷은 수컷에 비해 상대적으로 날...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2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 벼 벼 벼... 벼이삭 익어가는 논
|
부여군 논에서 자라는 벼;
벼속에는 약 23종의 벼가 있고, 이중 재배종은 아시아 재배종인 Oryza sativa와 아프리카 재배종인 Oryza glaberrima 두 종뿐이다. O. glaberrima는 서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며, 일반적으로 재배벼는 O. sativa... |
|
공개
| 댓글: 0 | 첨부파일: 4 |
등록자: jinsuk |
등록일:
|
| |
|